'전기계량기 보기 무섭다'…폭염보다 두려운 전기요금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,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. 이번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,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전기요금이 지난해부터 연이어 인상되고 있습니다. 지난 겨울에는 난방비가 걱정거리였는데요. 여름철을 맞아서는 7월 첫날부터 전국 곳곳에 폭염특보가 내려지는 등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냉방비 걱정에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냉방비 폭탄'을 걱정하는 시민들의 목소리와 전세계적인 전기요금 고공행진 현상, 그리고 비상이 걸린 산업계 표정 등을 살펴보겠습니다. 먼저 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냉방비 폭탄과 전력 대란 덮칠까…올여름 전력 기상도는? / 김주영 기자]<br /><br />[기자] 서울의 한 가정집.<br /><br />아이 둘과 반려동물, 부부까지 다섯 가족이 삽니다.<br /><br />어린 아이와 반려동물이 있어 낮 시간 냉방은 필수.<br /><br />가장 더운 시간에만 에어컨을 켠다고 해도, 요즘 날씨에는 전원을 끄면 금세 더워져 사실상 종일 틀어야 합니다.<br /><br /> "작년보다는 더위가 일찍 찾아와서 아이들이 집에 있는데 낮에는 에어컨을 안 틀고 생활하기가 힘들어서 작년보다는 전기료가 많이 나올 것 같아요."<br /><br />최근 1년 새 전기요금은 세 차례에 걸쳐 40% 가까이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에너지 가격 상승분이 뒤늦게 전기요금에 반영된 건데 이 때문에 올여름 냉방비는 1년 전보다 부쩍 늘어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올여름 4인 가구 기준 하루 8시간 정도 에어컨을 사용하면 전기요금이 최대 12만원, 10시간 가까이 사용하면 최대 14만원이 나올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한국전력은 서민들의 여름철 냉방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전력사용을 줄인 만큼 kWh당 최대 100원을 돌려주는 에너지캐시백을 시행합니다.<br /><br />또 3단계 누진제 적용 구간을 단계마다 높였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지난해 여름과 겨울, 우리나라는 역대 전력 수요 최대치를 연이어 갈아치운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올여름 역대급 무더위가 예보된 만큼, 다음 달 둘째 주쯤 전력수요가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찍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력공급 능력이 늘어나 전력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란 입장입니다.<br /><br /> "작년보다 전력수요는 늘어나겠지만 그 늘어난 것보다 더 많은 발전소가 신규로 시장에 진입을 한 상황이기 때문에 올여름 전력수요와 관련된 위기상황은 없을 걸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"하지만 발전기 고장이나 침수, 화재 등 각종 변수는 여전한 만큼, 정부는 전력기관에 철저한 설비점검을 당부하고 있습니다.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"<br /><br />#에어컨 #냉방비 #냉방비폭탄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다른 선진국들에서도 전기요금이 크게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이웃 일본에서도 전기요금 고공행진을 이어갔는데,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 가스 공급이 제한된 유럽은 사정이 더 좋지 않죠. 해외 전기요금 인상 흐름과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을 짚어보겠습니다. 김지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가정용 6배 올린 伊…전세계 전기요금 줄줄이 고공행진 / 김지선 기자]<br /><br />[기자] 6월 1일자로 전기요금을 최대 40% 올린 일본의 민간 전력 회사들.<br /><br />화력발전에 사용되는 천연가스 가격 급등을 이유로 도쿄전력을 비롯해 10곳 중 7곳이, 가정용 전기요금에 해당하는 '규제요금'을 높였습니다.<br /><br />영국과 대만, 호주도 한자릿수에서 세자릿수까지 인상 행렬에 동참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최대 천연가스 수입국인 유럽연합 역시, 러시아발 에너지 대란을 겪으며 전기료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습니다.<br /><br />산업용 전기요금을 무려 324%나 인상한 '제조업 강국' 독일이 대표적.<br /><br />재룟값에 전기료까지 치솟자 프랑스에선 '국민빵' 바게트 굽는 걸 포기하는 빵집이 속출했고,<br /><br />무려 6배(629%) 넘게 폭등한 요금 고지서를 받아든 이탈리아는 '파스타 절약 요리법'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선 더위에 고생하더라도 에어컨을 안 틀고,<br />전기를 낭비하지 않도록 조심하고, 사람들이 냉장고 문을 닫고 화장실 불을 끄는지 확인하는데 사실상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어요"<br /><br />전기료가 오르면 전력 수요가 줄어든다는 분석도 있지만, 당장 서민들에게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.<br /><br />선진국들은 대신 보조금 지급, 세금 감면 등 에너지 취약 계층에 대한 재정 지원으로 그 틈을 메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EU는 에너지 위기로 반사이익을 누린 화석연료기업에게 한시적 '횡재세'를 걷어 필요한 재원을 충당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전력사에는 고정계약, 장기계약을 확대해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'채찍'과 함께 '당근'도 병행됐습니다.<br /><br />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유동성 기금을 제공하거나, 아예 전력사 지분을 인수해 국유화에 나선 사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전기요금 #EU #고지서<br /><br />[코너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지난해부터 전기요금을 걱정하는 건 가정뿐만이 아닙니다.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산업용 전기요금은 가정용보다는 저렴한 편인데요. 지난해 말에는 산업용 전기요금의 상승 폭이 가정용보다 더 높기도 했습니다. 그렇다고 전기요금을 아끼려고 공장을 멈출 수는 없는 노릇이죠.<br /><br />단순히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 문제 말고도, 전기요금과 관련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더 골치 아픈 일이 있습니다. 바로 'PPA 전용 요금제'인데요. PPA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기업이 직접 구매하는 제도입니다.<br /><br />기업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왜 구입해야 할까요. 2050년까지 기업 사용 전력 100%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'RE100'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입니다. 삼성전자 등 주요 대기업들은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'RE100'에 가입했습니다. 사회적 공헌 측면도 있지만, 높아지는 글로벌 '탄소 국경' 때문에 기업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조금 전 말씀 드린PPA, 곧 재생에너지 전기만으로 사용 전력을 ...